[정책뉴스]저출산·고령화시대‘인구교육’을 재조명하다!
작성자
admin
작성일
2019-11-15 22:26
조회
105
저출산·고령화시대‘인구교육’을 재조명하다!
- “저출산‧고령사회, 삶의 뉴플랜 인구교육”을 주제로 인구교육포럼 개최 (11.15) -
□ 보건복지부(장관 박능후)는 11월 15일(금) 오후 2시 30분 한국프레스센터(서울 중구)에서 “저출산‧고령사회, 삶의 뉴 플랜 인구교육”을 주제로 「제6회 인구교육 공개토론회(포럼)」를 개최했다고 밝혔다.
○ 이번 포럼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추진해온 인구교육을 재조명하고 인구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생애 단계별로 담아야 할 내용에 대해 학계 전문가 및 인구교육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모여 논의했다<붙임1. 인구교육 포럼 개요 참고>
□ 이번 행사에서 발표된 주제와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.
○ 김태헌 명예교수(한국교원대학교)는 ‘왜 인구교육인가?’라는 주제의 기조 강연을 통해, 저출산·고령화 극복을 위해서는 정책 강화뿐만 아니라, 국민이 인구 현상과 변동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가치관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인구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.
○또한, 전세경 교수(공주교육대학교)는 ‘삶의 뉴 플랜, 인구교육에 담아야 할 내용’을 주제로, ‘초저출산 및 급격한 고령화’ 시대에 인구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역량과 인구교육에 담아야 할 새로운 가치에 대하여 발제하였다.
○ 아울러 생애 단계별 인구교육에 대한 요구와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인구교육 연구학교를 운영 중인 초등학교 교사, 고등학교 인구교육 학생동아리 회장, 대학생 인구교육 토론대회 수상자, 성인 인구교육 강사 및 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 대상 수상자가 각각 아동, 청소년, 청년, 장년의 단계에서 필요한 인구교육에 대해 논의를 이어가는 방식(릴레이 토크)으로 자유롭게 발표하였다.
□ 한편, 이날 ‘2019년 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’에서 입상한 수상자 7명(대상 1, 최우수 1, 우수 2, 장려 3)에 대한 시상도 함께 진행되었다.
○보건복지부는 인구문제에 대한 전 국민의 관심을 유도하고 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인구교육 보조교재를 개발‧보급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‘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’을 개최하였다.
○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최민경씨의 ‘우리 모두 우유 빛깔(대상)’ 등을 수상작으로 선정하였으며, 수상작들은 작품집으로 엮어 “세상에서 우리 가족이 제일 좋아요” 라는 동화책으로 발간될 예정(‘19.12월말)이다.
<붙임2. ‘19년 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 추진 경과 및 수상자 명단>
□ 보건복지부 양성일 인구정책실장은 “당면한 인구문제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,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높이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”라고 말했다.
○ 또한 “국민의 결혼관, 자녀관 등 가치관 변화도 저출산에 영향을 주고 있어 결혼‧출산 및 가족생활에 대한 긍정적‧합리적인 가치관 정립을 위한 인구교육이 중요하며, 이번 포럼이 인구교육의 추진 방향과 내용에 대해 재조명해 보는 의미 있는 공론의 자리가 되길 바란다“고 강조하였다.
< 붙임 > 1. 제6회 인구교육 포럼 개요
2. ’19년 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 추진경과 및 수상자 명단
출처: :보건복지부 보도자료(2019.11.15)
http://www.mohw.go.kr/react/al/sal0301vw.jsp?PAR_MENU_ID=04&MENU_ID=0403&page=1&CONT_SEQ=351535
- “저출산‧고령사회, 삶의 뉴플랜 인구교육”을 주제로 인구교육포럼 개최 (11.15) -
□ 보건복지부(장관 박능후)는 11월 15일(금) 오후 2시 30분 한국프레스센터(서울 중구)에서 “저출산‧고령사회, 삶의 뉴 플랜 인구교육”을 주제로 「제6회 인구교육 공개토론회(포럼)」를 개최했다고 밝혔다.
○ 이번 포럼에서는 지난 10여 년간 추진해온 인구교육을 재조명하고 인구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생애 단계별로 담아야 할 내용에 대해 학계 전문가 및 인구교육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모여 논의했다<붙임1. 인구교육 포럼 개요 참고>
□ 이번 행사에서 발표된 주제와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.
○ 김태헌 명예교수(한국교원대학교)는 ‘왜 인구교육인가?’라는 주제의 기조 강연을 통해, 저출산·고령화 극복을 위해서는 정책 강화뿐만 아니라, 국민이 인구 현상과 변동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가치관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인구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.
○또한, 전세경 교수(공주교육대학교)는 ‘삶의 뉴 플랜, 인구교육에 담아야 할 내용’을 주제로, ‘초저출산 및 급격한 고령화’ 시대에 인구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역량과 인구교육에 담아야 할 새로운 가치에 대하여 발제하였다.
○ 아울러 생애 단계별 인구교육에 대한 요구와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인구교육 연구학교를 운영 중인 초등학교 교사, 고등학교 인구교육 학생동아리 회장, 대학생 인구교육 토론대회 수상자, 성인 인구교육 강사 및 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 대상 수상자가 각각 아동, 청소년, 청년, 장년의 단계에서 필요한 인구교육에 대해 논의를 이어가는 방식(릴레이 토크)으로 자유롭게 발표하였다.
□ 한편, 이날 ‘2019년 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’에서 입상한 수상자 7명(대상 1, 최우수 1, 우수 2, 장려 3)에 대한 시상도 함께 진행되었다.
○보건복지부는 인구문제에 대한 전 국민의 관심을 유도하고 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인구교육 보조교재를 개발‧보급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‘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’을 개최하였다.
○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최민경씨의 ‘우리 모두 우유 빛깔(대상)’ 등을 수상작으로 선정하였으며, 수상작들은 작품집으로 엮어 “세상에서 우리 가족이 제일 좋아요” 라는 동화책으로 발간될 예정(‘19.12월말)이다.
<붙임2. ‘19년 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 추진 경과 및 수상자 명단>
□ 보건복지부 양성일 인구정책실장은 “당면한 인구문제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,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높이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”라고 말했다.
○ 또한 “국민의 결혼관, 자녀관 등 가치관 변화도 저출산에 영향을 주고 있어 결혼‧출산 및 가족생활에 대한 긍정적‧합리적인 가치관 정립을 위한 인구교육이 중요하며, 이번 포럼이 인구교육의 추진 방향과 내용에 대해 재조명해 보는 의미 있는 공론의 자리가 되길 바란다“고 강조하였다.
< 붙임 > 1. 제6회 인구교육 포럼 개요
2. ’19년 인구교육 창작동화 공모전 추진경과 및 수상자 명단
출처: :보건복지부 보도자료(2019.11.15)
http://www.mohw.go.kr/react/al/sal0301vw.jsp?PAR_MENU_ID=04&MENU_ID=0403&page=1&CONT_SEQ=351535
전체 217
번호 | 제목 | 작성자 | 작성일 | 추천 | 조회 |
공지사항 |
[현황자료] 복지용구 품목별 이용현황(2019년 7월)
admin
|
2019.08.23
|
추천 0
|
조회 1065
|
admin | 2019.08.23 | 0 | 1065 |
공지사항 |
[현황자료] 배회감지기 이용현황(2019년 7월)
admin
|
2019.08.13
|
추천 0
|
조회 1121
|
admin | 2019.08.13 | 0 | 1121 |
공지사항 |
[복지자료] 노인장기요양보험 급여이용 안내 e-Book
admin
|
2019.08.08
|
추천 0
|
조회 1257
|
admin | 2019.08.08 | 0 | 1257 |
공지사항 |
[복지자료]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8월호(2019. Vol 108)
admin
|
2019.08.08
|
추천 0
|
조회 1247
|
admin | 2019.08.08 | 0 | 1247 |
공지사항 |
[복지자료]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7월호(2019. Vol 107)
admin
|
2019.08.08
|
추천 0
|
조회 1255
|
admin | 2019.08.08 | 0 | 1255 |
공지사항 |
[복지자료] 복지용구사업소 교육 교재(2018.11월 제작)
admin
|
2019.01.16
|
추천 0
|
조회 2296
|
admin | 2019.01.16 | 0 | 2296 |
공지사항 |
[복지자료] 복지용구 급여제품 안내(2018.12)
admin
|
2018.12.14
|
추천 0
|
조회 2707
|
admin | 2018.12.14 | 0 | 2707 |
206 |
New [정책뉴스]내년부터 환자에게 요양병원 본인부담상한액 초과금 직접 지급한다
admin
|
2019.12.09
|
추천 0
|
조회 8
|
admin | 2019.12.09 | 0 | 8 |
205 |
[정책뉴스]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많은 곳 261개 개선 필요사항 조치한다
admin
|
2019.12.09
|
추천 0
|
조회 8
|
admin | 2019.12.09 | 0 | 8 |
204 |
[정책뉴스]교통약자 비행기 탑승 더욱 안전하고 편리해진다
admin
|
2019.12.09
|
추천 0
|
조회 12
|
admin | 2019.12.09 | 0 | 12 |
203 |
[정책뉴스]노르딕 국가와 지역사회통합돌봄 정책협력 강화한다
admin
|
2019.12.05
|
추천 0
|
조회 37
|
admin | 2019.12.05 | 0 | 37 |
202 |
[정책뉴스]휠체어·유모차의 도시철도 이용 한결 편리해진다.
admin
|
2019.11.25
|
추천 0
|
조회 68
|
admin | 2019.11.25 | 0 | 68 |
201 |
[정책뉴스]‘중앙치매센터’로 국립중앙의료원 선정
admin
|
2019.11.25
|
추천 0
|
조회 78
|
admin | 2019.11.25 | 0 | 78 |
200 |
[업계소식] 대학-기업주도 고령친화산업 성장 전략 활동, 고령친화산학협력 네트워크 개최
admin
|
2019.11.21
|
추천 0
|
조회 99
|
admin | 2019.11.21 | 0 | 99 |
199 |
[정책뉴스]1회 최대 3만원 지원 서울시, 15일부터 장애인 바우처택시 요금 인하
admin
|
2019.11.15
|
추천 0
|
조회 109
|
admin | 2019.11.15 | 0 | 109 |
198 |
[정책뉴스]저출산·고령화시대‘인구교육’을 재조명하다!
admin
|
2019.11.15
|
추천 0
|
조회 105
|
admin | 2019.11.15 | 0 | 105 |
197 |
[정책뉴스]보다 많은 어르신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
admin
|
2019.10.31
|
추천 0
|
조회 185
|
admin | 2019.10.31 | 0 | 185 |
196 |
[정책뉴스]혁신적 의료기기의 시장 진출을 위한 든든한 지원자가 되겠습니다!
admin
|
2019.10.31
|
추천 0
|
조회 148
|
admin | 2019.10.31 | 0 | 148 |
195 |
[정책뉴스]“거동불편자 의료접근성 개선을 위한 왕진 활성화 추진”
admin
|
2019.10.31
|
추천 0
|
조회 135
|
admin | 2019.10.31 | 0 | 135 |
194 |
[정책뉴스] 치매환자 주·야간 돌봄기능 강화하고 국가치매연구 착수한다
admin
|
2019.10.29
|
추천 0
|
조회 146
|
admin | 2019.10.29 | 0 | 146 |
193 |
[건강정보]세계 장애인 여성의 건강 핸드북 번역,발간
admin
|
2019.10.29
|
추천 0
|
조회 150
|
admin | 2019.10.29 | 0 | 150 |
192 |
[정책뉴스]휠체어 이용자도 고속버스 장거리 여행 가능해진다
admin
|
2019.10.17
|
추천 0
|
조회 185
|
admin | 2019.10.17 | 0 | 185 |